결혼은 인생에서 가장 특별한 순간이자 소중한 추억으로 남는 이벤트입니다. 하지만 막상 준비를 시작하면 가장 크게 와닿는 것이 바로 예식 비용 부담인데요. 평균적으로 웨딩홀 대관료, 식대, 드레스·메이크업, 사진 촬영까지 합치면 2,000만~3,000만 원이 훌쩍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결혼식을 간소화하거나, 스몰 웨딩을 선택하는 커플도 늘어나고 있죠.
이런 현실적인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서울시가 직접 나섰습니다. 바로 ‘더 아름다운 결혼식’ 공공예식장 프로그램인데요. 공공시설을 호텔급 웨딩홀, 야외 가든, 전통혼례 공간으로 개방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결혼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
특히 올해는 기존 25개소에서 61개소로 대폭 확대되면서, 커플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공간이 두 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그만큼 원하는 콘셉트와 분위기에 맞는 예식장을 고를 수 있는 폭이 넓어진 셈이죠. 오늘은 서울에서 결혼을 준비하는 커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서울시 공공예식장 ‘더 아름다운 결혼식’ 프로그램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더 아름다운 결혼식 신청하기
1. 서울시 ‘더 아름다운 결혼식’ 프로그램이란?
서울시가 운영하는 ‘더 아름다운 결혼식’은 공공기관, 공원, 문화시설을 웨딩 공간으로 활용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호텔급 인테리어를 갖춘 실내 웨딩홀부터, 한강 뷰 루프탑, 고풍스러운 한옥 혼례 공간까지 다양하게 제공되는데요.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바로 비용 절감입니다. 보통 일반 웨딩홀의 경우 평균적으로 수천만 원대의 비용이 드는 반면, 서울시 공공예식장은 1,200만~1,500만 원 선에서 가능합니다.
- 대관료: 무료 ~ 50만 원
- 식대 단가: 일반 웨딩 대비 절반 수준
- 기획·진행, 음향, 꽃장식, 드레스·촬영: 표준 가격표로 운영되어 투명성 확보
즉, 합리적인 비용으로도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나만의 웨딩을 준비할 수 있는 것이죠.
2. 공공예식장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
- 비용 절감 효과
- 평균 웨딩: 2,000만~3,000만 원
- 공공예식장: 1,200만~1,500만 원
👉 최소 800만 원 이상 절감
- 투명한 가격 공개
- 드레스, 사진, 꽃장식, 진행 등 표준 가격표 제공
- 숨은 비용 없이 예산 관리 용이
- 다양한 공간 선택 가능
- 실내 호텔급 웨딩홀
- 한강 루프탑 감성 웨딩
- 전통 한옥에서 올리는 전통혼례
- 숲과 정원에서 즐기는 야외 가든 웨딩
- 특별한 추억
- 일반 웨딩홀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 인생에 단 한 번뿐인 특별한 결혼식 가능
3. 신규 웨딩홀 BEST 3
올해 새롭게 추가된 예식장 중에서 많은 커플들이 관심을 보이는 서울 공공예식장 BEST 3를 소개합니다.
1️⃣ 피움서울 (FIUM SEOUL)
- 서울여성플라자 국제행사장을 리모델링한 실내 웨딩홀
- 200명 규모 수용 가능
- 호텔급 인테리어와 최신 음향·LED 스크린 완비
- 대방역 도보 3분 거리라 접근성 우수
- 서울형 키즈카페 1호점이 인근에 있어 가족 단위 하객에게도 인기
2️⃣ 더힐스 남산 웨딩홀
- 남산 자락에 위치한 단독주택형 하우스 웨딩 공간
- 남산 뷰를 품은 프라이빗 웨딩홀
- 200명 규모까지 수용 가능
- 자연과 도심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프리미엄 웨딩 장소
3️⃣ 한강 선착장 루프탑 웨딩홀
- 망원, 여의도, 압구정 선착장 루프탑 공간에서 진행 가능
- 노을과 한강 뷰를 배경으로 한 감성 소규모 웨딩
- 80~100명 규모로 스몰 웨딩에 적합
- 9월부터 본격적으로 대관 가능
4. 그 외 선택 가능한 예식장
① 정원·공원 웨딩홀
- 서대문 안산, 북서울 꿈의숲, 선유도공원 등
- 초록빛 가득한 야외 공간에서의 내추럴 웨딩
② 한옥 전통혼례
- 운현궁, 남산골한옥마을 민씨가옥, 백인제가옥 등
- 고풍스러운 한옥에서 올리는 전통혼례
- 한국적인 멋과 의미를 살린 특별한 예식
③ 문화시설 웨딩홀
- 서울의 주요 공공기관과 복합문화공간도 개방
- 예술적인 감성과 웨딩을 결합한 새로운 경험
5. ‘더 아름다운 결혼식’ 프로그램 이용 팁
- 예약은 서둘러야 한다: 특히 인기 있는 장소는 예약 경쟁이 치열해 최소 6개월 전부터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예산 플랜 세우기: 기본 패키지 비용과 추가 선택 옵션을 비교해 자신에게 맞는 예산을 구성하세요.
- 예식 콘셉트 정하기: 한강 뷰, 한옥, 호텔 인테리어 중 원하는 스타일을 미리 정하면 장소 선택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 확인: 매년 참여 시설과 세부 프로그램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서울시 공공예식장 안내 페이지를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결혼 준비 과정에서 가장 큰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예식 비용입니다. 하지만 서울시의 ‘더 아름다운 결혼식’ 공공예식장 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비용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특별한 공간에서 나만의 웨딩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61개소로 선택지가 크게 확대되었기 때문에, 실내·야외·전통 혼례 등 원하는 콘셉트에 맞춰 예식장을 고르기 좋습니다. 만약 서울에서 결혼을 준비 중이라면, 꼭 한 번 공공예식장을 확인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 주변에 결혼 준비 중인 커플이 있다면 이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아마 가장 큰 도움이 될 웨딩 꿀팁이 될 것입니다.
'생활정보 및 알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계약 끝났는데 보증금을 못 받았을 때 대처법 총정리 (내용증명부터 소송, 강제집행까지) (0) | 2025.08.31 |
---|---|
기부금 영수증 발급 방법과 세금 공제 혜택 완전 정리 (3) | 2025.08.30 |
2025 딩고뮤직 콘서트 〈Killing Voice〉 예매·라인업·좌석 완벽 가이드 (4) | 2025.08.29 |
도자캣(DOJA CAT) 2025 내한공연 완벽 가이드 – 일정·예매·좌석·관람 꿀팁 총정리 (0) | 2025.08.29 |
9월 A매치: 한국 축구대표팀 친선 경기 요약 – 일정, 중계, 관전 팁 (2) | 2025.08.29 |